🐾 평범한 일본생활, 골프장 이야기 👉 매일 연재! 새 글 알림을 받고 싶다면 여기에서 구독하기
본문 바로가기
  • 일본 영주자의 삶
  • 리리의 하루
  • 사랑하는 가족
일본 영주자의 삶/관리자의 하루

🌍 외국인의 손에 맡겨진 일본의 돌봄

by RIAN&RIRI 2025. 7. 4.

– 외국인 간병 인력의 현실과 과제


고령화가 극심한 일본에서 지금 가장 부족한 분야 중 하나는 바로 **간병 인력(介護人材)**이다.
노인을 돌보는 일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중요해지고 있지만, 현장에서는 일할 사람이 없다.

이 인력 공백을 메우기 위해, 일본은 외국인 간병 인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.
하지만 그 안에는 언어, 문화, 제도, 처우라는 여러 층위의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다.


📊 외국인 간병 인력의 증가

  • 2024년 기준 외국인 간병 인력 약 7만 명
  • 2030년까지 20만 명 이상 필요
  • 주요 국가는 베트남, 필리핀, 인도네시아, 네팔

📍 일본은 다음 3가지 주요 제도를 통해 외국인 간병 인재를 수용하고 있다.


📋 제도별 비교표

제도명대상국가체류기간자격 요건특징 / 한계
EPA 간병제도 필리핀, 인도네시아, 베트남 최대 4년 일정 기간 내 일본어·국가시험 합격 합격 시 정규 간호자격 취득 가능, 그러나 시험 난이도 높음
특정기능 1호 전 세계 (주로 아시아권) 최대 5년 일본어 능력시험(N4 이상), 실기시험 통과 비교적 문턱 낮음, 최근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경로
기술연수생 제도 베트남, 네팔 등 3~5년 연수생 자격, 체험 중심 ‘실습’ 명분이나 실상은 노동, 처우 문제로 비판 많음
 


🌏 출신국가별 외국인 간병 인력 분포 (2024 기준 / 후생노동성 통계)

  • 🇻🇳 베트남: 48%
  • 🇵🇭 필리핀: 20%
  • 🇮🇩 인도네시아: 17%
  • 🇳🇵 네팔: 10%
  • 기타 (태국, 미얀마, 중국 등): 5%

✅ 베트남이 압도적으로 높은 이유는 일본어 교육 인프라와 협정 확대 때문이다.
✅ 필리핀은 간호사 자격 보유 인력이 많아 EPA 중심으로 유입되고 있다.


🧠 현장에서는 어떤 문제가 생기고 있을까?

🗣️ 언어의 벽

  • 고령자는 사투리나 치매로 인한 말투 사용 → 표준 일본어 수준으론 소통 어려움
  • 시험 기준은 N3~N1 수준 요구**

🧭 문화의 차이

  • 신체접촉, 노인에 대한 예절, 식습관 등에서 간극
  • 어떤 노인이나 가족은 외국인을 꺼리거나 차별 발언을 하기도 함

🕰️ 근무 환경의 가혹함

  • 긴 근무 시간, 부족한 휴식, 낮은 보수
  • 일부 기관은 불법 근로, 계약 미준수도 발생 → 귀국 혹은 이탈 사례 많음

🏛️ 일본 사회와 정부의 대응

1. 간병 일본어 교육 강화

  • 기초 일본어 + 현장 회화 중심 교육 확대
  • 일본 전국 간병 학교 및 기관에서 사전 언어 트레이닝 과정 운영

2. 정책 개선 움직임

  • 기술연수생 제도 → ‘특정기능’으로의 이행 권장
  • 자격 시험의 실무 중심 개편안 검토 중

3. 차별 방지와 정당한 처우

  • 일부 지자체, 외국인 전용 상담창구 운영
  • ‘외국인 간병인 차별금지 조례’ 제정한 지역도 존재


💬 외국인 간병인은 단순한 ‘노동력’이 아니다

그들은 누군가의 부모, 조부모, 인생의 마지막 시간을 책임지는 이들이다.
서툰 일본어로 “다이죠부데스까?”라고 물으며,
정성껏 손을 닦아주고, 미소로 마음을 나누는 이들이다.

그 진심에 일본 사회가 차별이 아니라 존중과 신뢰로 응답할 수 있을 때,
우리는 진정한 다문화 간병 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.


✍️ 마무리하며

앞으로 일본의 간병은 더 이상 ‘일본인만의 간병’이 아닐 것이다.
**문화, 언어, 국적을 초월한 ‘공존의 돌봄’**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.

서로의 다름을 인정하고, 존중하며, 더 나은 시스템과 인식을 만들어 간다면,
지금 이곳에서 외국인 간병인이 돌보고 있는 그 어르신의 하루는, 조금 더 따뜻할 수 있을 것이다.